Home Kafka vs RabbitMQ
Post
Cancel

Kafka vs RabbitMQ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은 성능과 확장성 요구가 커지고 있습니다. 비동기 처리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는 이를 해결하는 중요한 방식입니다. 동기 처리보다 비동기 처리는 대규모 트래픽과 복잡한 로직 처리에 더 적합합니다.

이 글에서는 비동기 처리의 필요성과 RabbitMQ, Apache Kafka를 사용해 성능과 확장성을 개선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 비동기 처리란?

비동기 처리는 요청 후 응답을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 방식이다.
동기 처리와 달리 I/O 작업을 기다리느라 자원을 낭비하지 않는다.

  • 높은 동시성: 많은 요청을 동시에 처리
  • 확장성: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대규모 트래픽 처리
  • 장애 격리: 작업 간 독립적 처리로 장애 발생 시 영향 최소화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는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방식이다.
프로듀서는 이벤트를 발생시키고, 컨슈머는 이를 처리한다. 메시지 브로커가 이 둘을 연결해 준다.

📌 주요 개념

  • 이벤트: 시스템 상태 변화 (예: 주문 생성, 결제 완료)
  • 프로듀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주체
  • 컨슈머: 이벤트를 받아 처리하는 주체
  • 메시지 브로커: 이벤트를 전달하는 중간 역할

📌 장점

  1. 비동기성: 이벤트를 비동기로 처리해 응답성 향상
  2. 확장성: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 추가
  3. 내결함성: 장애 발생 시 메시지 보존으로 데이터 손실 최소화

📌 단점

  1. 복잡성 증가: 추가 설계 필요
  2. 트랜잭션 관리 어려움: 분산 환경에서 데이터 일관성 유지 어려움


✅ RabbitMQ와 Kafka를 통한 비동기 처리

RabbitMQKafka는 대표적인 메시지 브로커이다. 하지만 이 둘은 사용 목적과 방식이 다르다.

📌 RabbitMQ

RabbitMQ는 신뢰성 있는 메시지 전송이 필요한 시스템에 적합하다.
AMQP 기반으로 트랜잭션 처리상태 변경 이벤트를 다룰 때 많이 사용된다.

주요 특징

  • 메시지 내구성: 메시지를 디스크에 저장해 재시작 시에도 메시지 유지
  • 다양한 라우팅 패턴: 다이렉트, 팬아웃, 토픽 라우팅 지원
  • 확장성: 클러스터링으로 확장 가능

📌 Kafka

Apache Kafka대규모 데이터 스트림 처리에 특화된 분산 메시징 시스템이다.
실시간 로그 처리, 이벤트 스트리밍에 적합하다.

주요 특징

  • 높은 처리량: 초당 수백만 건의 메시지 처리
  • 분산성: 메시지를 여러 브로커에 분산 저장해 확장성 극대화
  • 메시지 복제: 복제를 통해 데이터 손실 방지


📌 RabbitMQ vs Kafka 비교

특징RabbitMQKafka
주요 용도트랜잭션 처리, 상태 변경 이벤트실시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 로그 수집
메시지 전송 보장1회 전송, 메시지 내구성 보장최소 1회 전송, 메시지 복제 지원
확장성클러스터링 지원, 중간 수준 확장성매우 높은 확장성, 분산 아키텍처
처리량중간 수준매우 높은 처리량
메시지 순서 보장보장되지 않음파티션 내에서 메시지 순서 보장
사용 패턴큐 기반 메시징, 다양한 라우팅 패턴로그 기반 메시징, 스트림 처리

RabbitMQ트랜잭션 중심의 처리에,
Kafka대용량 로그 처리실시간 스트리밍에 적합


✅ 적용 사례

📌 전자상거래 시스템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RabbitMQ는 주문 생성 후 결제 처리를 비동기로 처리하는 데 유용하며, Kafka는 실시간 로그 수집 및 분석에 적합

📌 실시간 데이터 처리

Kafka는 실시간 행동 데이터를 수집해 마케팅이나 상품 추천에 활용하는 데 유리하다.

📌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RabbitMQ나 Kafka를 통해 서비스 간 통신을 비동기로 처리해 시스템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 결론

비동기 처리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는 성능과 확장성을 극대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RabbitMQ는 신뢰성 있는 트랜잭션 처리에, Kafka는 대규모 실시간 데이터 처리에 적합합니다. 필요에 따라 두 시스템을 적절히 활용해 효율적인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참고 자료

This post is written by PRO.

Linux 자주 쓰는 명령어 정리

도메인 엔티티, 영속성 엔티티 꼭 분리해야 되는가